가상화폐 마일벌스 MVC 코인 발행처를 알아보자(MILEVERSE)
마일벌스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가 각 기업의 마일리지를 마일벌스의 자체 통화인 MVP(MileVerse-Point)로 교환하여 결제에 이용 가능합니다. 또한, 바코드/QR코드를 이용한 결제 기능, 기프티콘 구매 기능, 가맹점 정산 기능, 생체인증, Pin Code를 이용한 2중 보안 등의 기능을 지원하며, 향후 가상자산 지갑 기능과 거래소 연동 기능을 추가할 예정입니다.
발행처 및 발행 방식
마일벌스는 카이만제도를 기반으로한 PM Soft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새로운 통합 마일리지 결제 플랫폼으로 고객이 사용하지 못하고 소멸하던 마일리지를 MVP(MileVerse-Point)로 교환하여 가맹점에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기능 및 특징
마일벌스 아키텍처는 스마트 컨트랙트 레이어, 블록체인 레이어, 인프라 레이어, 서비스 레이어,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레이어 총 5가지 레이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애플리케이션 레이어 (Application Layer): 애플리케이션 레이어는 사용자가 최종적으로 사용하는 서비스 이용 영역으로, 일반적인 스마트폰의 앱과 동일한 역할을 합니다. 사용자가 입력하는 데이터를 입력 받아 서비스 레이어에 전송해 주고 서비스 레이어로부터 전송 받은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출력합니다.
- 서비스 레이어 (Service Layer): 서비스 레이어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하는 개별적인 모듈이 활용되는 공간으로 각각의 모듈은 애플리케이션의 액션에 의해 작동됩니다. 마일리지를 지급받는 결제처를 위한 마일리지 결제처리 모듈과 마일리지의 정산을 위한 정산 모듈, 실제 대금 처리를 위한 회계 모듈, 통계와 관리를 위한 관리자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블록체인 레이어 (Blockchain Layer): 블록체인 레이어는 ERC-20 토큰을 사용하기 위해 이더리움 환경에서 운영됩니다.
- 스마트 컨트랙트 레이어 (Smart Contract Layer): 이더리움 스마트 컨트랙트를 작성하는 영역으로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ERC-20 토큰을 생성하여 MVP와 MVC를 교환하는 코드 등이 해당됩니다.
- 인프라 레이어 (Infra Layer): 마일벌스 플랫폼 서비스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마일벌스의 최종적인 정보들이 저장, 보호, 모니터링 됩니다.
Business Model
(보유한 마일리지를 언제 어디서나 현금처럼 사용 할 수 있는 모바일 플랫폼)
마일벌스는 소비자들이 흩어져 있던 마일리지를 모아 마일벌스 포인트(MVP)로 교환한 후 다양한 가맹점에서 손쉽게 현금 처럼 사용할 수 있는 모바일 결제 플랫폼을 제공합니다.
Business Process
(마일리지 통합도 간편하고, 마일리지 결제도 간편한 모바일 플랫폼)
마일벌스는 마일리지 교환 및 사용상의 불필요한 단계를 최소화하여 사용자 및 제공자의 편의를 모두 만족시키는 결제 프로세스를 제공합니다.
Business Strength
(고객과 기업, 가맹점 모두가 Win-Win하는 모바일 플랫폼)
마일벌스는 고객의 편의와 이익은 물론, 기업과 가맹점 모두에게 이익이 될 수 있는 선순환 구조의 마일리지 생태계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