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상화폐 세상

가상화폐 쿼크체인 QKC 코인 발행처/특징을 알아보자(QuarkChain)

728x90
반응형

쿼크체인은 샤딩(Sharding) 기술을 통해 블록체인의 확장성을 개선하여, 1초당 100만건 이상의 속도를 처리할 수 있는 P2P 거래 시스템을 만드는 프로젝트입니다. 이 때, 샤딩체인과 루트체인으로 층을 구분한 블록체인을 사용하여 샤드 운영에 대한 유연성을 증진시킵니다. 이를 통해, 쿼크체인은 금융 과학기술과 게임 산업에 빠른 트랜잭션 처리 속도와 안정성을 보장하는 탈중앙화된 플랫폼을 제공합니다.

발행처 및 발행 방식
쿼크체인은 이더리움 기반의 ERC-20 토큰으로 2018년 6월에 발행되었습니다. 해당 코인은 Boson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대용량 시스템을 통한 블록체인의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2019년 4월에 메인넷으로 전환되었습니다.

기능 및 특징
1. 보손 합의 알고리즘 (Boson Algorithm)
보손 합의 알고리즘은 보안, 탈중앙화, 확장성을 달성하는 합의 알고리즘의 집합체입니다. PoW를 주요 합의 알고리즘으로 하며, 모든 트랜잭션이 네트워크 내 샤드의 개수와 관계없이 높은 해시파워로 보호됩니다. 이 때 네트워크의 트랜잭션은 샤드의 개수에 비례하여 증가합니다. 또한, 보손 합의 알고리즘의 매개 변수 조정을 통해 Naïve 합의 알고리즘 구현이 가능합니다.

2. 크로스 샤드 트랜잭션 (Cross-shard transactions)
쿼크체인은 크로스 샤드 트랜잭션을 통해 빠른 시간 내 높은 거래량을 처리합니다. 기존의 샤딩 방식과는 달리, 샤드의 모든 주소를 하나의 계정에서 하나의 프라이빗 키로 모든 주소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합니다. 쿼크체인은 테스트넷 런칭 시 256개의 샤드와 50개의 클러스터를 구성하였고 2천 TPS의 처리 속도를 구현했습니다. 이는 비트코인이 최대 4 TPS, 이더리움이 최대 20 TPS, 리플이 최대 1500 TPS 인 것에 비해 훨씬 빠른 처리 속도입니다. 쿼크체인은 향후 100만 TPS의 달성을 목표로 개발 중에 있습니다.

3. 인 샤드 트랜잭션 (In-shard transactions)
사용자의 발신 또는 수신하는 지갑 주소가 동일한 샤드 ID를 보유하고 있으면, 해당 잔고는 샤드 내 트랜잭션으로 전송됩니다.""

●쿼크체인의 기술●

<높은 유연성>

<높은 확장성>

<높은 사용성>

 

●Roadmap

2017 / 2018 1분기
백서 발간검증 코드 0.1테스트넷 0.18 샤드를 지원하는 내부 테스트넷월렛 0.1Q포켓은 입출금과 크로스-샤드 거래를 지원합니다

2018 2/3분기
테스트넷 1.0:256 샤드, 6450노드로14+K TPS를 달성한 퍼블릭 테스트넷스마트 계약 0.1:EVM 기반 스마트컨트렉트를 지원합니다. 지갑 0.2:Q포켓은 스마트 컨트렉트의 배포및 사용을 지원합니다. 블록 탐색기 및 네트워크 탐색기오픈 소스 개발자 커뮤니티 구축

2018 4분기 / 2019 1분기
테스트넷 2.0: 모두가 채굴할 수 있는 퍼블릭 테스트넷채굴에 참여하세요. 쿼크체인 코어 1.0:공식적인클러스터 기반의 쿼크체인 노드메인넷 1.0: 메인넷 공식 출시. 스마트지갑 1.0: Q포켓은 더욱 향상된 사용자 경험과 크로스-샤드 거래를 지원합니다

2019 2분기
쿼크체인 코어 2.0:p2p 프로토콜이 개선된클러스터 기반의 노드, 더많은 샤드와다양한 컨센서스를 지윈하는 쿼크체인이 정식출시 되었습니다 스마트지갑 3.0:Q포켓은 DApp과 멀티 토큰관리를 지원합니다

2019 3/4분기
새로운 샤드 개발을 위한 커뮤니티 거버넌스토큰스왑/스마트 컨트랙트

2020 1-4분기
스테이킹풀 컨트랙트가 적용된 '스테이킹 1.0'

2021 1분기
멀티네이티브토큰 기능 갖춘 새로운 메인넷 '빅뱅' 출시

2021 2/3분기
DeFi 제품이 출시 '스테이킹 2.0'

728x90
반응형